ETF와 ETN 그리고 ETD의 차이점은 뭘까?

2025. 1. 12. 06:00투자의 서재/ETF

 

가끔 레버리지 ETF를 찾다보면 티커에 ETN이라고 적혀 있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혹은 최근 상장 폐지된 런던 시장 아이온큐 3배 레버리지를 보면 ETD 라는 표현을 쓴다.

(레버리지 관련 파생상품은 정말 잘 사용하여야 한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1085036

 

"젠슨 황 한마디에 3000만원 날렸다"…서학개미들 '비명'

"젠슨 황 한마디에 3000만원 날렸다"…서학개미들 '비명', 젠슨 황 "양자컴 상용화 멀었다" 발언에 양자컴퓨터주 급락 미 대장주 아이온큐 39% 폭락…3배 레버리지 ETP '상장 폐지'

www.hankyung.com

 

이 전에 올린 변동성 드래그(끌림) 현상에 관해 링크를 걸어두니 참고 바란다.

https://ham-woo.tistory.com/11

 

여러가지를 하나의 바구니에 [ ETF에 관하여 (6) ] Volatility-Drag (변동성 드래그 현상)

빠르게 부자가 되고 싶은 마음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어렸을 떄는 "돈이 전부가 아니다", "돈은 필요한 만큼 있으면 돼", "돈이 행복에 전부는 아니야"라고 이야기를 많이 들었지만, 내가 그

ham-woo.tistory.com

 

 

그렇다면 ETN? ETN이 뭐야? ETD는 또 뭐고? ETF랑 그냥 똑같겠지 뭐.

하다가 이제서야 공부해본다.

예전에 FNGU 를 투자해봤던 경험이 있었다. 지금은 현재 들고 있지 않지만 정확히 알지 못하고 투자했던 내 자신이 얼마나 무모했던걸까

그냥 수익만 나면 됬지라기 보다는 좀 더 정확하게 알아보면 좋을 것 같아 준비해 보았다.

 

ETFETN, 그리고 ETD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항목 ETN ETF ETD
구조 발행사의 부채 증서 기초 자산(주식, 채권, 원자재 등)을 보유 선물 옵션 등 파생상품
추적 오차 없음 일부 존재 없음
신용 위험 발행사 신용 위험이 있음 없음 낮음
유동성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음 높음 높음
배당/분배금 없음 있음 없음
레버리지 상품 사용 가능 사용 가능 사용 가능
비용 보통 ETF보다 약간 높음 상대적으로 낮음 상대적으로 낮음
세금 효율성 특정 국가에서 유리할 수 있음 배당 소득에 세금 부과 가능 거래 수익은 단기 자본이득세로 과세되므로 장기 투자자에게는 비효율적

* ETF는 단순히 시장의 리스크만 생각하면 되지만 ETN은 추가적인 발행사(운용사)의 신용도 또한 꼭 챙겨볼 필요가 있다.

* ETN은 국가별 세법이 달라 세금 혜택이 다르게 적용이 되는데 미국에서는 ETN 투자시 발생하는 배당소득에 대해 미국 정부가 세금을 원천징수함. 그러나 한국 정부는 미국에서 이미 배당소득세를 납부한 경우 해당 소득을 국내 과세 표준에서 제외하도록 조치하여 이중 과세 부담을 덜 게 함.

* ETN은 배당이 없다고 하는데 왜 배당소득세를 내야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길 수 있다. ETN은 부채 증서로 기초자산을 보유하지 않지만 기초지수의 배당수익률을 반영하여 총수익을 제공하기 때문에 세법상 배당소득세로 연결될 수 있다. ( 수익률+배당수익률= 총 수익 )

* 일부의 ETN은 거래량이 매우 낮아 매수, 매도 스프레드가 굉장히 넓을 수 있기에 유의해야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ETN을 사용하는 이유는 복잡한 지수도 부채 증서로 이루어져 있어 추적이 쉬우며, 비용 절감에도 효과적이다.

* ETD는 롤오버(개약 갱신) 시점에는 비용이 발생하며 간접적인 추적 오차가 발생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