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 14. 18:00ㆍ투자의 서재/ETF

우리가 지난 시간 동안 Magnificents 7을 보았다면,
이번에는 7을 제외한 다른 기업들의 정보를 알아보려 한다.
그 첫 번째로는 오징어 게임, 기묘한 이야기, 종이의 집 등 다양한 히트작을 제작하고 배포하는 Netflix를 알아보려 한다.
Netflix는 시기를 잘 타고난 기업인 것 같다. 물론 초기에는 DVD 대여 서비스로 기업을 시작하였지만 때마침 코로나 19라는 팬데믹 재해를 맞이하며 웃을 수 있던 몇 안 되는 기업이지 않았을까 싶다.
많은 공연 문화와 영화 등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것들이 팬데믹으로 어려워지며 수혜를 받았던 종목이었다. 코로나가 끝나고 한 차례의 깊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 또한 이겨내고 최근 신고가를 계속 올려가며 상승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Netflix의 스타일을 보았을 때 타사에 비해 자극적이고 충격적인 소재와 더불어 사회적 이슈 및 다양성을 추구를 하여 다른 OTT 플랫폼보다 선두주자로써 앞장서기 시작하였으며 다른 경쟁사와는 차별화를 두고 있는 기업임에 분명하다.
먼저 넷플릭스의 어원은 인터넷을 의미하는 Net과 Flicks -> Flix 영화를 사용하는 은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이름이다.
처음 Netflix는 1997년 DVD 대여사업으로 시작을 하였고 1999년 건별 대여가 아닌 월 요금을 지불하여 원하는 만큼 빌려갈 수 있도록 하는 구독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하여 예측 가능한 수익을 만들어 내기 시작하였다.
어느 정도 사업의 성공을 거둔 후 2007년 스트리밍 서비스의 전환을 시작한다.
그렇다면 Netflix의 기본적인 정보를 알아보자.
항목 | 내용 |
회사명 | Netflix Inc. |
설립일 | 1997년 8월 29일 |
설립자 | 리드 헤이스팅스, 마크 랜돌프 |
본사 위치 | 미국 캘리포아니아주 로스가토스 |
주요 산업 분야 | 스트리밍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제작 및 배급 |
서비스 지역 | 전 세계 (일부 국가 제외) |
주요 서비스 | - 영화 및 드라마 스트리밍 - 오리지날 컨텐츠 제작 |
수익 모델 | - 구독료 기반 - 광고 지원 요금제 - 콘텐츠 라이센스 판매 |
상장 정보 | 나스닥 : NFLX |
연간 매출 | 연간 매출 약 $320억 |
주요 경쟁사 | 디즈니 +,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HBO MAX, 애플 TV |
대표 컨텐츠 | 기묘한 이야기, 종이의 집, 더 크라운, 오징어 게임 |
주요 수익 모델 | - 구독기반 요금제 - 광고 포함 요금제 |
기술 혁신 | - AI 추천 알고리즘 개발 - 고화질 스트리밍 제공 |
* 넷플릭스는 이용할 수 있는 인원수, 화질 등을 요금제로 차등을 두어 개개인에 적합한 요금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함
* 넷플릭스의 성장 관련 리스크 중 하나인 구독자의 성장둔화와 경쟁 심화는 눈여겨볼 문제이다. 지구에 존재하는 인구는 무한하지 않기 때문이다.
'투자의 서재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넷플릭스의 엄청난 실적발표와 관련 ETF 찾아보기 (12) | 2025.01.22 |
---|---|
중국 주식 시장 지수에 관한 ETF (5) | 2025.01.20 |
ETF와 ETN 그리고 ETD의 차이점은 뭘까? (1) | 2025.01.12 |
빅 테크와 레버리지 ETF의 만남 (6) [ Meta ] (0) | 2025.01.11 |
빅 테크와 레버리지 ETF의 만남 (5) [ GOOGLE ] (0) | 2025.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