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 22. 06:00ㆍ투자의 서재/국내주식
오늘 트럼프가 취임하면서 전임인 바이든에 대한 흔적 지우기에 나섰다.
특히 전기차와 친환경 관련된 정책들을 모두 폐기할 기세로 첫 행정명령들 중 파리 기후 협약 탈퇴를 명령하였다.
https://news.jtbc.co.kr/article/NB12232657?influxDiv=NAVER
트럼프, '파리 기후변화 협정' 재탈퇴…"불공정한 협정" | JTBC 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파리 기후변화 협정 탈퇴'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사진=REUTERS/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파리 기후변화 협정 탈퇴'
news.jtbc.co.kr
이로 인해 현재 우리나라 2차 전지 관련주들의 주가가 떨어지고 있다.
트럼프 집권 중 전기차에 대한 지원은 아무래도 어려워 보이는 상황에서 2차전지 관련주들의 향방은 과연 어떻게 될까?
1. 긍정적 영향
- 중국 배터리 의존도 감소 : 트럼프가 중국에 대한 관세를 높이고 기술 규제를 강화한다면, 중국산 배터리 의존도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그 대안으로 한국의 기업들은 미국, 유럽 시장에서 중국의 대체 공급자로 선택 받을 수 있다.
- 인플레이션 감축법 수혜 지속 :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은 세금 인상과 정부 개입의 확대를 가져온다고 생각하기에 트럼프 정권이 비판적 시각으로 생각해던 법안이다. 하지만 미국 내 제조업 활성화를 중요시하는 트럼프는 미국 내 배터리 생산을 발전보다는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은 이미 미국 내 공장을 확장하고 있기에 한국 기업에는 긍정적일 것으로 보인다.
- 기술 혁신 및 경쟁력 강화 : 트럼프는 자유시장과 기업 경쟁력 강화를 중요시 생각하므로 한국 2차전지 기업들이 기술 혁신을 통한 가정 경쟁력과 성능에서 우위를 선점한다면 트럼프 임기 중에도 좋은 결과를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2. 부정적 영향
- 보호무역주의 및 고관세 정책 : 중국에 대한 고관세와 무역 갈등은 한국 2차전지 기업에 부담이 될 수 있다. 배터리 원자재나 부품을 수출하는 데 있어 수출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중국 의존도가 높은 경우 비용 상승이 있을 수 있다
- 내연기관 산업 우선 지원 : 트럼프는 공약대로 친환경 정책인 전기차보다는 내연기관 자동차 산업을 내세울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전기차 보조금은 폐지될 가능성과 환경 정책 규제 완화 등의 정책들과 같은 부분들은 전기차 산업 성장에 제한이 있을 가능성이 커지므로 배터리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매우 높다
3. 대응 전략
- 미국 시장 의존도 낮추기 : 트럼프의 정책에 대비하여 한국 2차전지 기업은 미주에만 의존하는 것 보다 글로벌 시장의 다각화를 하는 방법으로써 대응이 필요하다.
- 전기차 가격 인하 : 또한 보조금이 줄어들 경우, 가격 경쟁력을 높여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전기차 산업 협력 : 전기차 산업 지원을 강화하는 다른 국가들에서의 협력 강화가 매우 중요하다.
4. 기업별 영향
기업 | 긍정적 영향 | 부정적 영향 |
LG에너지솔루션 | 미국 공장 확대로 IRA 혜택 지속 가능 |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관세 부담 |
삼성SDI | 미국 전기차 시장 확대 수혜 | 트럼프의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투자 심리 악화 |
SK온 | 포드와의 협업으로 미국 시장 점유율 확대 | 중국 의존 원자재의 가격 및 공급망 문제 |
에코프로 | 양극재 생산 능력 확대로 미국 시장 수혜 가능 | 원자재 조달 비용 상승 및 가격 경쟁 심화 |
포스코퓨처엠 | IRA 및 글로벌 배터리 수요 증가 수혜 | 중국 원자재 의존에 따른 리스크 |
https://ham-woo.tistory.com/41
트럼프가 취임하면서 주목해야할 한국 주식들은?
오늘부터 트럼프의 임기가 시작된다.트럼프는 임기를 시작과 동시에 엄청난 양의 행정 명령을 쏟아댈 예정이다.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49596 취임 첫날부터 '무더기 행정명령'…거세
ham-woo.tistory.com
https://ham-woo.tistory.com/37
트럼프가 취임하면 주목해야 할 주식은?
트럼프의 대통령 재취임 트럼프는 2016년 힐러리와의 대선에서 승리하여 2017년 미국 대통령이 되었다. 하지만 2020년 대선에서는 바이든에게 패하여 재선에 실패하였다. 그리고 2024년 다시 한번
ham-woo.tistory.com
'투자의 서재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가 취임하면서 주목해야할 한국 주식들은? (17) | 2025.01.21 |
---|---|
삼성전자에 관한 고찰 (2) |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