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에 관하여

2024. 11. 29. 01:11투자의 서재/나의 이야기

자본주의의 사전적 의미
'생산 수단을 자본으로서 소유한 자본가가 이윤 획득을 위하여 생산 활동을 하도록 보장하는 사회 경제 체제'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라는 책 혹은 동영상을 본 적이 있는지 모르겠다.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는 자본주의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며, 금리와 경제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잘 풀어내었다.
주식을 이야기하기 전 이 이야기를 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금리' 때문이다.
개인적인 경험으로 거시경제 중 하나인 금리를 파악하지 못하면 다음 스텝을 예측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금리'

 
금리는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것이다. 돈을 빌려주고 사용료를 받는다는 것
그 사용료를 얼마큼 받을 것인지 정하는 기관은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혹은 통칭 FED라고도 한다)
여기서 매우 놀라운 점은 이 기관은 정부로부터 독립되어 있다.
금리를 이 기관의 임원들이 정하여 공표(기준금리)를 하면 세계 각 국의 은행들은 그에 따라 각 나라에 맞는 금리를 정하는 것이다.
 

제롬 파월

 
지금 의장의 이름은 제롬 파월이다.
뉴스에 이 사람 나오면 긴장된다. 이 사람이 이야기하는 방향에 따라 주가가 움직인다.

  • 금리가 낮으면 주식은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돈을 빌려 쓰는 이용료가 매우 싸며 은행 상품의 이자보다 주식 및 부동산의 가치가 더 높다)
  • 금리가 높으면 주식은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돈을 빌려 쓰는 이용료가 매우 비싸며 은행 상품의 이자보다 주식 및 부동산의 가치가 더 낮다)

기준금리를 볼 수 있는 사이트이다.
https://www.federalreserve.gov/economy-at-a-glance-policy-rate.htm

Economy at a Glance - Policy Rate

The Federal Reserve Board of Governors in Washington DC.

www.federalreserve.gov

 
5.5% 여태까지 보기 힘든 금리였다가 최근 4.75% 까지 내려왔다. 
코로나 기간에는 0.25%, 제로금리에 가까웠다.
 
전 세계 경제 상황에 맞춰 금리를 올리고 내리고 한다.
하나 명심해야 할 것은 금리가 낮아지면 마냥 좋아할 것이 되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금리가 낮아지면 뭔가 문제가 생긴다는 이야기가 될 수 있다.
 

'양적완화 &양적긴축'

 
양적완화는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돈을 푼다.
양적긴축은 과열된 경기를 돈을 회수하며 억제를 한다.
 
 

현재 금리의 방향이 앞으로의 투자 방향을 결정한다!

 

 
 

'투자의 서재 >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을 시작할 때  (1) 2024.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