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 20. 12:00ㆍ투자의 서재/경제 뉴스
트럼프의 2기 정부가 한국 시간 오늘 밤 부터 시작이 된다.
트럼프 2기의 경제 기조도 중국을 압박할 정책을 내세울 것으로 추측된다.
그럼 현재 중국의 상황은 어떠할까?
최근 중국은 내수 침체와 소비 심리 위축 등 많은 어려움으로 경제 상황이 위축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4년 중국의 경제 성장률은 약 4.6 % 로 집계되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120019300008?input=1195m
한투증권 "올해 중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 4.6%"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한국투자증권은 20일 중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이 4.6%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www.yna.co.kr
물론 글로벌 시장과 비교했을때 아직도 높은 수치라 할 수 있겠지만, 지난 중국의 성장률을 보면 점점 낮아지고 있는 하향 추세임을 볼 수 있다. (2021년 8.1%, 2022년 3.0%, 2023년 약 5.0%)
그러나 아직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딛고, 일부 경제 지표에서는 2024년 9월에서 부터 개선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저점을 지나고 있는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그래서 중국 정부는 올해 경제 성장률을 약 5%대로 제시할 예정이며 내수와 금융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예정으로 보인다.
오늘 부로 시작되는 트럼프 2기가 시작되면 다시 중국과의 갈등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중에서도 무역과 기술, 안보 분야에서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1. 무역 및 경제적 대응
트럼프 정부는 무역 불균형에 대한 해소를 이번 정부의 시작과 동시에 시작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중국은 이미 트럼프 정부 1기 동안 관세에 대한 갈등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제품에 추가적인 관세를 부과하고 자국 산업을 보호하는 반덤핑 조치를 통해 자국의 산업보호를 해오고 있다. 이번 정부에 들어서도 같은 기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2. 기술 분야 경쟁
트럼프 정부는 중국 기술 기업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가했다. 특히 화웨이와 같은 기업에 대한 제재가 이슈였는데, 화웨이를 국가 안보상의 이유로 블랙리스트로 지정하여, 미국의 기술과 부품을 구매할 수 없게끔 조치하였다. 그래서 중국은 자국의 기술 자립 및 반도체와 5G 같은 핵심 기술 등에서 자급자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른 국가와 협력을 강화하고 외국 기업의 투자 유치를 통해 기술 발전을 도모하려 노력 중이다.
3. 안보 및 군사적 대응
트럼프는 대중국 군사적 억제를 강화하려 노력하였다. 특히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군사력을 강화하여 중국을 압박하였다. 중국은 이에 강하게 반발하여 군사력 강화와 해양 세력 확정을 추진할 계획으로 보여진다. 남중군해에서의 군사적 활동강화와 대만에 대한 압박이 매우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내부 경제 회복과 지속적인 개혁으로 반미 정서를 조장하고 국제적 협력을 도모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의 경제 회복
최근 들어 중국의 경제에 긍정적인 회복 징조가 보이고 있으며 일부 주요 지표에서 경제 개선이 보이고 있다. 소비자 지출 증가, 자동차와 전자제품 판매량 증가, 제조업의 회복, 투자증가, 고용 시장의 회복등 많은 지표들이 경제 상황의 회복 징조를 보이고 있다. 과연 트럼프 2기 정부를 통해 중국은 어떻게 대응하며 발전할지 궁금해지는 부분이다.
https://ham-woo.tistory.com/38
트럼프는 왜 비트코인을 선택했을까?
비트코인이 등장한 지 벌써 17년.2008년 의문의 남자, 실제로 존재하는지, 가명인지 모르는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만들어진 비트코인이라는 가상화폐는 엄청난 이슈를 낳으며 2024년 $108,249를 신
ham-woo.tistory.com
'투자의 서재 > 경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대 최대 현금 보유한 버핏, 주식시장의 폭풍을 예상하나? [ 버핏 지수에 관하여 ] (10) | 2025.01.24 |
---|---|
트럼프 정부의 첫 프로젝트 '스타게이트' (11) | 2025.01.23 |
미국 주식의 상승은 언제까지 지속 될까? (8) | 2025.01.23 |
트럼프는 왜 비트코인을 선택했을까? (5) | 2025.01.19 |
최근 미국에서 발표한 CPI, PPI 는 어떤 것일까? (0) | 2025.01.16 |